안녕하세요, 오이사공(5240) 입니다.

이번 공지에서는 HR 시스템 내 결재취소 프로세스 개선에 대해 안내드립니다. 본 업데이트는 데이터 무결성과 유연한 인사 운영을 동시에 달성하기 위한 것으로, 사용자의 편의성과 시스템 안정성을 높이는 데 목적이 있습니다.

🔍 왜 결재취소 설정이 중요한가요?

HR 시스템은 휴가, 근태, 급여와 같이 민감한 데이터를 다루기 때문에, 중간에 변경이 발생하면 인사제도와 불일치되는 정보가 남을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이미 승인된 휴가가 취소되거나, 근태정보가 수정되는 경우가 그렇죠. SAP, 오라클 등 글로벌 ERP 시스템은 이런 문제를 방지하기 위해 중간 데이터 변경을 원칙적으로 허용하지 않습니다.

하지만 5240은 현실적인 업무의 유연성을 위해 데이터 변경을 일부 허용합니다. 단, 데이터 무결성을 보장하기 위해 결재취소 후 재신청 절차가 필요할 수 있습니다.

📌 결재취소 프로세스 구성 비교

구분 AS-IS (기존 방식) To-Be (추가 구성)
결재라인 구성 취소신청서는 사전 정의된 결재라인 사용
예: 원신청은 본부장 전결, 취소는 팀장 전결
신청서별로 결재라인 구성 가능
✔ 기존 방식 유지 가능
✔ 원결재라인 그대로 반영 가능
유연성 제한적 (사전에 정한 결재라인만 가능) 높음 (기안 당시 라인 유지 또는 변경 선택 가능)
활용 기업 수 매우 많음 (표준 방식) 점차 확대 중 (유연한 정책 반영 가능)

⚙️ 설정 방법 안내

5240 HR 시스템 관리자는 아래 옵션을 통해 새로운 결재취소 라인을 설정할 수 있습니다.

설정 항목 설명
1293번 옵션

신청서별 취소 가능 시작/종료일 정의
취소 신청서의 결재라인을 대체할지 여부 설정 (Y/N)

결재취소결재라인

기본값 설정이 없으면 기존 방식 유지
즉, 취소 신청서 전용 결재라인 사용

✅ 요약

  • HR 시스템의 데이터 무결성은 매우 중요합니다.
  • 5240은 업무 유연성을 위해 일부 데이터 변경을 허용합니다.
  • 결재취소 시 두 가지 방식 중 선택 가능합니다: 기존 결재라인 or 최초 결재라인 유지
  • 1293번 옵션 설정을 통해 설정 변경이 가능합니다.

❓ 자주 묻는 질문 (FAQ)

  1. Q. 취소 결재라인을 원 결재라인으로 설정해도 되나요?
    A. 네, TO-BE 방식에서는 선택 가능합니다.
  2. Q. 설정을 변경하면 기존 신청서에도 적용되나요?
    A. 아니요, 변경 후 작성되는 신청서부터 적용됩니다.
  3. Q. 설정을 어디서 변경하나요?
    A. 관리자 메뉴의 1293번 옵션에서 설정 가능합니다.
  4. Q. 두 방식 중 어떤 것이 더 추천되나요?
    A. 조직의 정책에 따라 다르며, 유연성을 중요시한다면 TO-BE 방식을 추천합니다.
  5. Q. 설정 후 언제부터 적용되나요?
    A. 실시간 반영되며, 재기동이 필요 없습니다.
2025. 06. 04
채연 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