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직무급 가장 합리적이지만

급여의 여러 종류 중에 직무에 따라 급여를 설정하는 것이 가장 합리적인 방안입니다. 근무를 오래했다고 급여를 많이 주는 호봉제가 이제는 거의 폐지되고 있습니다. 하지만 직무급은 연공서열, 경험 등을 중시하는 우리나라에서는 확산에 여러 장애가 있는 것 같습니다.

그럼에도 장기적으로는 직무에 근거한 급여를 생각하고 조금씩 진행하는 기업이 생기고 있습니다. 정통인사관리를 지향하는 오이사공5240에서 준비해보았습니다.

1️⃣먼저 직무를 설계합니다.

오이사공5240의 직무는 4단계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기업별 설계에 따라 3단계, 2단계 설정이 가능합니다. 예를 들면, 직군-직렬-직종-직무라는 단계로 구성할 수 있습니다.

직무급
직무급 코드 설정

상하위도 정해서 트리구조로 볼 수 잇도록 하고요. 시작과 종료일을 정해서 우리 회사의 직무에 대한 이력(history)가 남도록 합니다.

2️⃣ 다음은 인사발령입니다.

임직원의 직무를 발령처리합니다. 직위, 직책과 같이 직무도 발령하여 이력을 남깁니다.

3️⃣ 마지막으로는 급여에서 직무에 따른 급여계산로직을 정하는 것이죠.

 정통 인사관리시스템이 아니면 쉽게 제공되지 못합니다.

인사발령과 급여가 연동되는 사례입니다. 막연하게 직무급을 하자라고 했을 때, 직무를 설계하고 인사발령하세요라는 구체적 솔루션을 드립니다. 그다음에 고객사에서 정한 직무급여 규칙을 급여모듈에 반영하는 것입니다. 오이사공5240

채연 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