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평가관리 제대로 하고 있는 것일까요?

우리가 하고 있는 평가제도의 많은 문제는 “피터드러커가 하라는 데로 하지 않아서”입니다.

일반적인 평가, 성과관리에 대한 컨설팅을 받고 난 후 실무자는 결국 어떻게 해야 하는 것이냐에 대한 처음 질문으로 돌아가는 경우가 적지 않습니다.

🗄️ 컨설팅을 받으면 이런 정형적인 보고서를 받습니다.

평가관리
평가관리에 대한 컨설팅보고서

☑️ MBO는 정말 실패한 평가일까요?

전통적인 MBO를 비판하고 새로운 방법을 제시하는 경우가 많죠. 기존 평가 방법이 너무 결과에 치중되어 있어서 과정을 좀 더 강화해야 한다는 것이 비판의 핵심입니다. 우리나라에서 보편화된 KPIMBO의 아류인데, OKR이라는 새로운 용어가 등장했습니다. 기존의 KPI 또는 MBO의 단점을 OKR로 극복할 수 있다는 것으로 인사팀에 접근하고 있군요.

Objective and Key Results

인텔에서 시작되어 구글을 거쳐 실리콘밸리 전체로 확대된 성과관리 기법으로, 조직적 차원에서 목표(objective)를 설정하고, 결과를 추적할 수 있도록 해주는 목표 설정 프레임워크다.

 

MBO란 회사의 비전과 중장기적 경영전략

그리고 연간 사업 계획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부, 부문, 팀, 팀원에 이르기까지

상급자와 하급자가 사전 협의를 통해 업무 목표와 달성 기준을 설정하고,

계획과 성과를 점검해 가는 자기 관리 시스템이다.

(특히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과정에서 회사의 지원을 강조하고 있다. 물론 일정 기간이 흐른 후 그 결과를 평가한다. 우리가 중간 과정은 생략하고 결과적인 평가에 초점을 맞추기 때문에 부작용이 발생한다.)

 

채연 임